류종택의 프로그래밍 강의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류종택의 프로그래밍 강의실

메뉴 리스트

  • 홈
  • 분류 전체보기 (364)
    • 소프트웨어 공학 (21)
    • 프로젝트 (28)
      • FF-Player (2)
      • 엔트리 (1)
      • Ah!FreeCa (11)
      • HelloWorld (8)
      • 네트워크 (3)
      • Presentation Online (1)
    • RyuLib (26)
      • RyuLib for Delphi (16)
      • RyuLib for Android (9)
      • Super Socket (0)
      • Intel Encoder (1)
    • 프로그래밍 (133)
      • Delphi (39)
      • Arduino & IoT (66)
      • C & C++ (2)
      • Android (26)
    • 오픈소스 연구 (32)
      • FFMPEG (9)
      • WebM (3)
      • Opus (0)
      • SoundTouch (2)
      • MEncoder (1)
      • MinGW (12)
      • libtorrent (2)
    • 강의 (34)
    • 종태기 생각 (20)
    • etc (67)
      • 프로그래밍 퀴즈 (2)
      • 제품 리뷰 (4)

검색 레이어

류종택의 프로그래밍 강의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종태기 생각

  • 원리는 필요없다. 기본도 필요없다!

    2016.01.25 by ryujt

  • 개발 조직의 3가지 유형

    2015.05.15 by ryujt

  • 실력은 의식을 거치지 않고 시전되어야 한다

    2015.01.25 by ryujt

  • 프로그래밍은 예술을 탐하면서 시작된다

    2014.10.08 by ryujt

  • 축구를 통해서 바라 본 조직 운영

    2014.08.22 by ryujt

  • 지식 중독

    2014.08.22 by ryujt

  • 할 수 있는, 해야 하는, 이루어 놓은 그러한 일들

    2014.08.22 by ryujt

  • 강의 잘하는 법

    2013.12.17 by ryujt

원리는 필요없다. 기본도 필요없다!

컴퓨터(프로그래밍)를 아이들에게 가르칠 때, 저는,"원리는 필요없다. 기본도 필요없다.중요한 것은 지금 알고 있는 것으로 무엇을 만들고 싶은 지? 를 생각하는 것이다."라고 가르칩니다. 부모님들에게도"아직은 장난감처럼 가지고 놀 때입니다. 아이들이 노는데 방해하지 마세요!"라고 당부합니다. 어떻게 하면 호기심을 자극하고 동기를 유발 시킬 수 있는 지만을 생각합니다. 어떻게 하면쉽게 결과물을 만들고 이를 통해서 성취감을 갖도록 할 수 있을 지만을 생각합니다. 나중에 이들이 "이 길이 내길이다" 라는 마음이 들 때,원리나 기초는 그 때 필요한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순한 호기심에 시작하는 입문자에게도 같은 입장입니다. 그러나,강한 호기심을 보이고 재능이 있어 보이는 아이들에게는 한계에 가까운 수준까지 살짝..

종태기 생각 2016. 1. 25. 13:11

개발 조직의 3가지 유형

동네 축구형 "공만 보면 달려간다." 어김없다! 공이 있는 곳에 선수들이 있다. 패스고 작전이고 없고 우르르 몰려 다닌다. 열심히 하는 것처럼 보이고 상당히 열정적이다. 하지만, 실제로 공(목표)에 다가서거나 만져 본 사람은 적다. 조기 축구형 "포지션을 갖춘다." 얼핏 프로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한다. 포지션(목표 정의와 개발 프로세스 정립)을 이용한 패스와 작전이 가능해 진다. 하지만, 무엇인가 항상 2% 부족하다. 아무리 노력해도 채워지지 않고, 번번히 프로젝트(경기)가 실패로 끝난다. 프로 축구형 "임기 응변이 가능해 진다." 조기 축구형의 경우에 크게 부족한 점은 없었다. 다만 프로젝트(경기)는 작전대로 진행되지 않는 것이 문제이다. 결국 예측을 뛰어 넘는 간극을 얼마나 "제때 그리고 빠르게" 대..

종태기 생각 2015. 5. 15. 09:17

실력은 의식을 거치지 않고 시전되어야 한다

가끔 이런 질문을 발견하고 합니다. "저는 이런 공부를 하였고, 이런 기술들을 다룰 수가 있습니다. 제 실력이 어느 정도 되는 것인가요?" 이제 아주 중요한 시기에 들어선 분일 것입니다. 스스로의 성취가 자랑스럽고 심지어 도취되어 성장에 대한 욕심이 앞서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이런 것을 충분히 즐기고 무럭무럭 자라나는 것이 맞는다고 봅니다. 하지만, 언젠가는 벽에 부딪치고 성장통을 겪게 될 것 입니다. 어떤 분야도 비슷한 것 같습니다. 이제 좀 할만하면 지쳐서 포기하는 사람이 끝까지 남는 사람보다 휠씬 더 많습니다. 자신이 성장을 넘어서 성숙을 하는 시기라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지치는 것입니다. 항상 딱 지치기 좋은 순간이 있습니다. 그 순간을 넘어서면, 그 원망스럽게 기어오르던 벽이, 나중에는 자..

종태기 생각 2015. 1. 25. 04:09

프로그래밍은 예술을 탐하면서 시작된다

이제 내 나이 곧 서른 열 여섯이 되는 청년이다.그리고, 오늘도 한 가지 생각에서 한 발 자국도 전진하지 못하고 있다. "프로그래밍이 무엇인지 이제야 조금 알 것 같다." 프로그래머는 기술로 완성되지 않는다.예술로 귀결 된다. 정답이란 애초에 없었고,언제나 새로운 길을 요구한다. 완벽이란 가능하지 않으며,최선을 다할 뿐이다. 조금 늦은 나이에 초라한 이치를 하나 깨달았다.그리고, 이제부터가 나의 전성기다. "프로그래밍은 예술을 탐하면서 시작된다."

종태기 생각 2014. 10. 8. 02:36

축구를 통해서 바라 본 조직 운영

동네 골목길에서 조기 축구 회원으로 보이는 무리와 스쳐지나갔다.돌연 이런 저런 생각에 빠지다가 동네 축구와 조기 축구 그리고 프로 축구에 대한 차이를 생각해봤다.동네 축구공만 쫓아 다닌다.잘하는 놈이 하나만 있어도 하는 생각이 간절하다.조기 축구자신의 포지션을 안다.팀워크의 비중이 커진다.프로 축구포지션을 넘어 임기응변이 가능해 진다. (전략과 전술의 분리)잘하는 놈 한 둘 만으로는 승리를 장담 할 수 없다.그런데, 갑자기 이것이 조직 운영에도 같은 양상이 보이는 것을 직관적으로 깨달았다. 스타트업은 공만 쫓는 근시안적인 운영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부족한 자원과 환경 변화에 대해서 민감하고 치명적인 규모로 인해서 목표와 수단이 뒤 바뀌는 건 순간이다. 스타트업이 취할 수 있는 전략은 무엇일까? 나는 "축..

종태기 생각 2014. 8. 22. 14:21

지식 중독

삼켜버린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다면아무런 소용이 없듯이, 받아들인 지식이 내 안에서 원래의 모양을 유지한다면,독이 된다.

종태기 생각 2014. 8. 22. 13:32

할 수 있는, 해야 하는, 이루어 놓은 그러한 일들

할 수 있는 일은 자산이 아니다. 능력 만으로 자만하지 마라. 해야 할 일들은 부채이다. 이자가 불어나기 전에 해결해라. 이루어 놓은 일들은 원석과 같다. 갈고 닦아서 자산이 되게 하라.

종태기 생각 2014. 8. 22. 13:27

강의 잘하는 법

이미지 출처: http://commons.wikimedia.org 감동적인 명사들의 강의를 듣다보면 몇 가지 공통점을 발견하고 합니다. 이번 포스트는 제가 느낀 그 공통점들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제 생각을 정리하기 위한 것이기에 두서 없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의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저도 강의를 자주 하는 편인지라, 교육에 관련된 이론서들을 읽어보았지만, 그다지 와닫지는 않았습니다. 아직 제 공부가 짧아서 그런 것이라 믿습니다. 언젠가 깨달음을 얻게 되면 이론적인 부분들도 정리해보겠습니다. 강의에 필요한 것들신선하고 충분한 재료너무나 당연하게도 명강의는 충분한 공부와 노력을 통해서 얻은 재료가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감동을 불러 일으키는 강사들은 자신의 전문 분야는 물론 그렇지 않은 분야..

종태기 생각 2013. 12. 17. 10:4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류종택의 프로그래밍 강의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