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종택의 프로그래밍 강의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류종택의 프로그래밍 강의실

메뉴 리스트

  • 홈
  • 분류 전체보기 (364)
    • 소프트웨어 공학 (21)
    • 프로젝트 (28)
      • FF-Player (2)
      • 엔트리 (1)
      • Ah!FreeCa (11)
      • HelloWorld (8)
      • 네트워크 (3)
      • Presentation Online (1)
    • RyuLib (26)
      • RyuLib for Delphi (16)
      • RyuLib for Android (9)
      • Super Socket (0)
      • Intel Encoder (1)
    • 프로그래밍 (133)
      • Delphi (39)
      • Arduino & IoT (66)
      • C & C++ (2)
      • Android (26)
    • 오픈소스 연구 (32)
      • FFMPEG (9)
      • WebM (3)
      • Opus (0)
      • SoundTouch (2)
      • MEncoder (1)
      • MinGW (12)
      • libtorrent (2)
    • 강의 (34)
    • 종태기 생각 (20)
    • etc (67)
      • 프로그래밍 퀴즈 (2)
      • 제품 리뷰 (4)

검색 레이어

류종택의 프로그래밍 강의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프로젝트/Ah!FreeCa

  • libopus for Android #1

    2016.01.17 by ryujt

  • libvpx for Android #1

    2016.01.05 by ryujt

  • A simple video conferencing project "Ah! FreeCa"

    2015.02.23 by ryujt

  • 아프리카 TV 따라하기 강의

    2015.02.10 by ryujt

  • 실시간 증권 방송 솔루션

    2014.12.14 by ryujt

  • 화상회의 프로젝트 에피소드 5 - Virtual Socket

    2010.12.13 by ryujt

  • 화상회의 프로젝트 에피소드 4 - 화상압축 라이브러리 구축

    2010.11.30 by ryujt

  • 화상회의 프로젝트 에피소드 3 - 안정적인 서버 구축

    2010.11.22 by ryujt

libopus for Android #1

https://github.com/ryujt/ahfreeca/tree/master/Android/Lib/libopus4Android

프로젝트/Ah!FreeCa 2016. 1. 17. 03:06

libvpx for Android #1

libvpx를 NDK를 이용해서 빌드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libvpx를 다운 받습니다.$ git clone https://chromium.googlesource.com/webm/libvpx libvpx 폴더에서 아래와 같이 configure를 실행합니다.$ ./configure --target=armv7-android-gcc --disable-examples --sdk-path=[NDK가 설치 된 폴더] --extra-cflags='-O3 -mfloat-abi=softfp -mfpu=neon' cygwin에서 에러가 나는데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고, 우분투에서 빌드하니 바로 됩니다. 혹시 cygwin에서 에러나시는 분들은 우분투에서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NDK는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make를 ..

프로젝트/Ah!FreeCa 2016. 1. 5. 09:38

A simple video conferencing project "Ah! FreeCa"

Ah! Free Ca(AFC)는 간단한 화상회의 프로젝트입니다.교육을 목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입니다.수 년 간 실제 서비스를 통해서 검증 된 실무 노하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http://www.himytv.com/) TO DO비디오 인코더를 VPX에서 Intel Media SDK로 변경 할 예정입니다. VPX는 고해상도에서 CPU 사용률이 매우 높지만, Intel Media SDK를 이용하면, CPU가 H264 인코딩에 대한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 할 경우 비약적인 성능을 보여 줍니다. (http://goo.gl/bbM1Dz)Speex를 MP3 또는 OPUS로 변경하여 음질을 높일 예정입니다.음성과 오디오의 완벽한 싱크를 위한 모듈이 아직 마무리가 되지 않았습니다.그 밖에도 사소한 부분들이 아직..

프로젝트/Ah!FreeCa 2015. 2. 23. 16:12

아프리카 TV 따라하기 강의

"아! 이 아프리카가 아니지 ㅡ.ㅡ" BJ가 자신의 캠과 마이크를 이용해서 다수의 청취자에게 방송을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교육 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스입니다. http://www.himytv.com/ 에서 실제 서비스하는 코드를 강의용으로 정리한 것 입니다. 수 년 간 실무에서 겪은 노하우를 담고 있습니다. 실습 소스 및 라이브러리메인소스는 https://code.google.com/p/ahfreeca/ 사이트에서 받으시면 됩니다."RyuLib for Delphi"가 추가로 필요합니다.https://code.google.com/p/ryulib4delphi/ 사이트에서 받으시면 됩니다.RyuLib는 제 개인 저장소에서 관리하다가 안정화되면 구글 사이트에 가끔씩 덮어 쓰곤 합니다. 그러다 보니 구글 사..

프로젝트/Ah!FreeCa 2015. 2. 10. 09:47

실시간 증권 방송 솔루션

무료체험: http://www.himytv.com/asp/trial 기타 문의: http://www.himytv.com/main/customer 증권 방송 및 PC 화면을 위주로하는 방송 솔루션입니다. 고해상도 지원 (Full HD 이상도 실시간 강의가 가능합니다)Active-X를 사용하지 않고, 모든 브로우져 지원안드로이드 아이폰 지원각종 API를 통해서 고객 사이트 및 카페 지원실시간 방송True Color

프로젝트/Ah!FreeCa 2014. 12. 14. 18:27

화상회의 프로젝트 에피소드 5 - Virtual Socket

소켓을 다루다 보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한 종류의 패킷을 다뤄야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합니다. 이때 이를 처리하는 가장 손 쉬운 방법은 각 패킷의 종류 마다 다른 포트를 사용하는 것 입니다. 이렇게 되면 전혀 다른 패킷의 처리 과정이 서로 섞이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인 코드 관리가 가능합니다. (단일 책임의 원칙) 하지만, 하나의 사용자 또는 목적으로 인해서 복수 개의 커넥션을 관리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경우가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코드의 효율성이 떨어 질 수도 있고, 보안의 이유로 복수 개의 포트를 사용 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이번에는 위와 상황에서 사용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Virtual Socket 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1] Virtual Socket의 Object 의존도..

프로젝트/Ah!FreeCa 2010. 12. 13. 14:22

화상회의 프로젝트 에피소드 4 - 화상압축 라이브러리 구축

이번에 다뤄 볼 주제는 화상압축 라이브러리 구축 과정입니다. 화상압축에 관한 알고리즘 문제는 다른 포스트를 통해서 다루도록 하고, 여기서는 라이브러리 구축 과정 자체에만 포커스를 가져가겠습니다. 우선 이 포스트에서 다루는 라이브러리 및 소스는 아래 주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ubversion : https://dev.naver.com/svn/megacast (password is 'anonsvn') 아래 [그림 1]은 압축용 클래스와 디코딩용 클래스에 대한 다이어그램 입니다. 상당히 허전해서 함께 올렸습니다. [그림 1] 엔코더와 디코더의 Class Diagram 우선 엔코더 클래스인 TMegaCastEncoder의 멤버들을 살펴보겠습니다. Method procedure Clear; procedure..

프로젝트/Ah!FreeCa 2010. 11. 30. 13:50

화상회의 프로젝트 에피소드 3 - 안정적인 서버 구축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을 쉽게 보고 프로젝트에서 고전을 한 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에 대한 상당히 지루한 공부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고, 여기 저기 물어도 봤지만, 뚜렷한 해답을 찾을 수는 없었습니다. 책이나 인터넷 자료로는 근본적인 문제에 접근 할 수가 없었고, 경험자들의 가벼운 조언은 실전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 못했습니다. 결국, 최대한 알아낸 기본지식을 토대로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스스로 깨우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후, 가끔 "서버 좀 살려주세요!" 라는 요청을 받아서 처리해 주곤 했었는데, 막상 저에게 방법을 물어올 때마다 저도 상당히 피상적인 대답을 할 수 밖에 없음을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건 안되겠다 싶어 몇 번이나 정리하고 강의도 진행해봤지만, 무엇인..

프로젝트/Ah!FreeCa 2010. 11. 22. 15:0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류종택의 프로그래밍 강의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