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종택의 프로그래밍 강의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류종택의 프로그래밍 강의실

메뉴 리스트

  • 홈
  • 분류 전체보기 (364)
    • 소프트웨어 공학 (21)
    • 프로젝트 (28)
      • FF-Player (2)
      • 엔트리 (1)
      • Ah!FreeCa (11)
      • HelloWorld (8)
      • 네트워크 (3)
      • Presentation Online (1)
    • RyuLib (26)
      • RyuLib for Delphi (16)
      • RyuLib for Android (9)
      • Super Socket (0)
      • Intel Encoder (1)
    • 프로그래밍 (133)
      • Delphi (39)
      • Arduino & IoT (66)
      • C & C++ (2)
      • Android (26)
    • 오픈소스 연구 (32)
      • FFMPEG (9)
      • WebM (3)
      • Opus (0)
      • SoundTouch (2)
      • MEncoder (1)
      • MinGW (12)
      • libtorrent (2)
    • 강의 (34)
    • 종태기 생각 (20)
    • etc (67)
      • 프로그래밍 퀴즈 (2)
      • 제품 리뷰 (4)

검색 레이어

류종택의 프로그래밍 강의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프로젝트/네트워크

  • 온라인 강의 - IOCP 및 소켓 서버 성능 향상

    2013.10.16 by ryujt

  • 대용량 소켓 서버 프로그래밍 - Connection Object

    2012.10.26 by ryujt

  • 대용량 소켓 서버 프로그래밍 - Atomic Operation

    2012.10.25 by ryujt

온라인 강의 - IOCP 및 소켓 서버 성능 향상

다음과 같이 온라인 강의를 진행 합니다.제목: IOCP 및 소켓 서버 성능 향상날짜 및 시간: 2013년 10월 23일 수요일 저녁 9시기타연락처: ryujt658@hanmail.net메일 보내주시면 다음 강의가 있을 때 미리 알려드립니다. 녹화 자료http://youtu.be/drVPb3z2bh0 강의실 입장 방법http://listen.himytv.com/codeway/1

프로젝트/네트워크 2013. 10. 16. 21:14

대용량 소켓 서버 프로그래밍 - Connection Object

대용량 소켓 서버 프로그래밍 두 번째 주제로 "Connection Object"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 까 합니다. 새로 맡은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기존 소켓 라이브러리에서 잦은 문제가 발생하자, 저는 IOCP를 이용해서 새로운 소켓을 작성하여 사용 중 입니다. 그리고, 그 동안 가장 맘에 안들었던 컨넥션 관리 알고리즘을 변경하였습니다. 테스트 결과는 상당히 만족스럽습니다. 컨넥션 객체의 재사용객체나 메모리를 할당 받고 삭제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보다는 재사용하는 쪽이 성능에 당연히 유리합니다. 그리고, 이것이 빈번 할 경우에는 상당한 차이가 벌어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생성했던 객체를 삭제하지 않고 객체 풀에 보관하다가, 필요 할 때 다시 재사용하면서 다소 성능에 이득을 볼 수가 있습니다. 또한, 이미..

프로젝트/네트워크 2012. 10. 26. 04:56

대용량 소켓 서버 프로그래밍 - Atomic Operation

대용량 소켓 서버 프로그래밍이라는 주제로 글 하나 올린 것이 화근이 되어서 해당 검색어를 통해서 제 블로그를 방문하시는 분들이 간혹 계시는 지라, 책임감을 느끼고 포스트를 이어 갑니다. (이럴 틈이 없이 바쁜데 ㅠ.ㅠ) 오늘은 시리즈를 염두하면서 첫 번째 주제로 "Atomic Operation"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Atomic Operation"을 먼저 이야기하려는 이유는, 대용량 지원을 위해서는 멀티 스레드 프로그래밍이 필수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멀티 스레드 프로그래밍을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해서 가장 큰 적은 역시 "Context Switching 비용"입니다. 아!! 어려워 보이는 용어가 시작부터 난무하고 있습니다 ㅠ.ㅠ 우선, "Atomic Operation"을 쉽고 무식하게 설명..

프로젝트/네트워크 2012. 10. 25. 12:2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류종택의 프로그래밍 강의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