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Arduino & IoT
Orange Pi Zero 사용 후기
ryujt
2016. 12. 1. 11:20
[사진 1]
raspberry pi zero가 구하기도 힘들고, orange pi zero가 새로 나왔다고 해서 구매를 했는데 이제서야 왔네요.
일단 제가 생각한 orange pi zero의 장점은
- 구하기 쉽다. (강의해야 하는데 raspberry pi zero는 항상 재고가 없다)
- wifi 내장으로 좀 더 쉽게 인터넷을 사용 할 수 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 raspberry pi zero에 비해 자료가 부족하다.
- 설치 과정에도 문제가 발생
- 공식 자료 다운로드 링크가 깨짐 (2016년 12월 1일 현재)
- 바이두 링크는 살아 있지만, 느리고 회원 가입해서 프로그램 설치해야 함
- Armbian for orange pi zero를 사용했지만, 설치 후 wifi 접속 과정에 문제가 있어 많은 시간을 허비함
- 구글에서 검색 된 자료에는 이전 버전에 대한 내용으로 이제는 그런 과정이 필요없으며, 제대로 되지도 않습니다.
- nmcli dev wifi connect <ssid> password <password>
- 발열이 심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조그마한 발열판을 붙였습니다.
설치 과정 - SD 카드 준비
- SDFormatter 를 설치하고 TF 카드를 포멧합니다.
- 옵션에서 Format Size Adjustment를 ON으로 변경하고 포멧을 합니다.
[그림 1]
- Armbian 을 다운받아서 압축을 풀어줍니다.
- https://www.armbian.com/orange-pi-zero/
- 저는 우분투인 Xenial Server 를 다운받았습니다.
- Win32 Disk Imager 를 설치하고 이미지를 SD 카드에 써넣습니다.
-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고, write 버턴을 클릭합니다.
[그림 2]
설치과정 - 부팅 및 기초 설정
- usb (otg) 케이블을 연결하면 부팅이 시작됩니다. [사진 1]에서 보드 위에 작은 초록색 LED가 켜지면 부팅이 된 것입니다.
- 모니터를 연결하는 것이 다소 어렵습니다. 저는 시리얼로 터미널을 연결하여 사용했습니다.
- http://linux-sunxi.org/Xunlong_Orange_Pi_Zero 에 보시면 시리얼 연결에 대한 설명이 나옵니다.
- USB to Serial cable은 아래와 같은 곳에서 구매 할 수 있습니다.
- 이더넷 케이블을 연결하면 orange pi zero가 dhcp로 바로 IP를 할당 받습니다.
- 공유기를 사용하시면 관리자 페이지에서 할당받은 dhcp 목록을 이용해서 orange pi zero의 주소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설명은 이더넷 연결을 통해서 진행합니다.
[그림 3]
터미널을 접속하면 아이디와 암호를 묻습니다.
아이디: root
암호: 1234
로그인이 완료되면 바로 암호를 변경하도록 합니다. 기존 암호를 넣고 새로운 암호를 두 번 입력합니다.
이어서 사용자 등록을 진행합니다. 아이디와 암호를 넣고 나머지 정보를 대충 입력합니다.
apt-get upgrade를 해서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 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에러가 납니다.
다른 것을 처리하다가 다시 시도해서 성공했습니다.
[그림 4]
GPIO를 다루기 위해서 라이브러리를 설치합니다.
구글 검색해서 나온 자료에 문제가 있어서 아래 링크를 사용했습니다.
# git clone https://github.com/zhaolei/WiringOP 을 실행합니다.
이후 [그림 5]와 같이 설치를 합니다.
[그림 5]
[그림 6]
WiringOP 설치가 완료되면 [그림 6]과 같이 표시 됩니다.
[그림 7]
[그림 7]과 [그림 8]과 같이 테스트 프로그램을 작성해봅니다.
[그림 8]
[그림 9]
- [그림 9]처럼 컴파일이 완료되면, ./blink를 실행합니다.
- [사진 1]과 [사진 2]처럼 LED가 깜박이게 됩니다.
[사진 2]
혹시나 WiringOP 저장소가 또 사라질 지 몰라서 현재 버전을 파일로 올려둡니다.